반응형
💡 연말정산 예상 세액 계산을 도와주는 국세청 ‘연말정산 미리보기’ 서비스가 개통되었습니다.
올해 1~9월 신용카드 사용액과 지난해 연말정산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초 예상 세액을 미리 확인하고, 절세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✅ 놓치기 쉬운 절세 포인트
1️⃣ 월세 지출 세액공제
- 대상:
- 총급여 8,000만 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.
- 방법:
- 임차계약서와 월세 지출내역을 홈택스에 등록해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.
- 세무서 검토 후 월세액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급.
- 혜택:
-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별도 서류 없이 공제 내역 확인 가능.
- 단, 신용카드 소득공제와 중복 적용 불가.
2️⃣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
- 대상:
-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, 경력단절여성.
- 혜택:
- 청년 근로자: 소득세의 90% 감면 (최대 5년).
- 경력단절여성: 재취업일부터 3년간 소득세 70% 감면.
- 중복 시:
- 청년과 경력단절여성 혜택이 겹칠 경우, 유리한 공제율 선택 가능.
- 예시:
1987년생 A씨가 2017년 중소기업 취업 후 청년 감면(90%) 혜택을 받다가 퇴직,
2021년 재취업 시 경력단절여성 감면(70%) 혜택을 추가로 받음.- 겹치는 해(2021년)는 감면율 높은 90% 적용.
3️⃣ 맞벌이 부부의 인적공제 최적화
- 전략:
-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공제를 많이 받는 것이 유리.
- 의료비·신용카드 공제는 소득이 낮은 쪽이 유리할 수도 있음.
- 국세청 맞벌이 절세 안내 서비스:
- 내년 1월 18일 개통.
- 부양가족 공제 조합 128가지 경우의 수를 계산해 최적의 절세 방안 제시.
- 최대 87만 원 환급 또는 최대 150만 원 추가 납부 절감 가능.
4️⃣ 연금계좌 및 금융상품 납입
- 연금계좌:
- 연금계좌 납입금액의 12% 세액공제 (한도: 600만 원).
- 연봉 5,500만 원 이하인 경우 15% 공제.
- 주택청약저축:
- 납입액의 40% 소득공제 (한도: 300만 원).
- 최대 120만 원 공제 가능.
- 청년형 장기집합 투자증권:
- 납입액의 40% 소득공제 (한도: 600만 원).
- 최대 240만 원 공제 가능.
💡 주의:
- 주택청약저축은 당첨 외 사유로 해지 시 공제 불가.
- 공제받은 금융상품 해지 시, 해지가산세 추징.
5️⃣ 기부금 세액공제
- 기부금 공제율:
- 2023년 기준:
- 1,000만 원 이하: 15% 공제.
- 초과분: 30% 공제.
- 2021~2022년에 기부한 이월기부금은 먼저 공제받는 것이 유리.
- 2023년 기준:
- 고향사랑기부제(고향기부제):
- 연간 최대 500만 원 기부 가능.
- 10만 원까지 전액 공제, 초과분은 15% 공제.
- 답례품: 기부금의 최대 30% 상당.
✅ 연말정산 절세를 위한 체크리스트
항목 | 내용 |
---|---|
월세 세액공제 | 임차계약서와 지출내역으로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. |
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| 청년 90%, 경력단절여성 70% 감면. 겹칠 경우 유리한 공제율 선택. |
맞벌이 부부 인적공제 | 국세청 서비스 활용해 최적 조합 선택. |
연금계좌/금융상품 납입 | 연금계좌, 주택청약저축 등 세액·소득공제율 높은 상품 납입. |
기부금 세액공제 | 고향사랑기부제 포함 기부금 공제율 확인. 2021~2022년 이월기부금 우선 공제. |
💬 올해 연말정산에서 최대한 절세 혜택을 누리세요! 놓치기 쉬운 공제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고, 여유 자금은 활용해 더 큰 혜택을 얻으세요. 😊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