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퇴직연금 중도 인출 요건 강화…노후 대비 강화 방안 추진

by kstory-4 2024. 12. 23.
반응형

정부는 퇴직연금을 불필요하게 중도 인출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요건을 강화할 방침입니다.
퇴직연금은 국민연금과 함께 다층 노후 소득 보장 체계의 핵심 축으로, 노후 생활 안정의 중요한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.


✅ 현행 중도 인출 요건

퇴직연금 중 확정기여형(DC) 연금은 예외적인 사유에 따라 중도 인출이 가능합니다:

  • 주택구입 및 주거 임차
  • 장기 요양(6개월 이상)
  • 파산 선고 및 회생절차
  • 천재지변 등 경제적 피해

지난해 퇴직연금 중도 인출 인원 중 52.7%가 주택구입, 27.5%가 주거 임차를 이유로 적립금을 사용했습니다. 특히, 30~40대 인원이 전체 중 75.7%를 차지해 노후 종잣돈을 주택비용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.


✅ 정부 개선 방향

  1. 중도 인출 요건 강화

    • 중도 인출 사유를 제한적으로 조정해, 주거 외의 예측 불가능한 경제적 곤란(예: 영구장애, 과도한 의료비 등)만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편.
    • 미국 등 연금 선진국 사례를 참고하여, 중도 인출을 극도로 제한.
  2. 퇴직연금 담보대출 활성화

    • 중도 인출 대신, 적립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촉진.
    • 주택 구입이나 임차 비용 충당을 돕되, 적립금은 유지하도록 유도.
  3. 연금화 확대

    • 퇴직 시 일시금이 아닌 정기 연금 형태로 지급받는 방식을 활성화.
    • 적립금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실질적인 노후 보장 기능 강화.

✅ 전문가 의견

전문가들은 퇴직연금의 노후 소득 보장 취지를 살리기 위해 중도 인출을 줄이고 연금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

  • 중도 인출 사유 제한: 주거비 외에는 영구장애, 긴급 의료비 등으로 한정.
  • 연금 활용성 증대: 담보대출 제도를 통한 자금 활용 지원.

미국처럼 퇴직연금을 장기 자산으로 보전하면서 필요한 경우 담보대출을 활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.


정부는 퇴직연금이 본래의 노후 소득 보장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중도 인출을 억제하는 제도 개선에 나설 예정입니다.
또한 담보대출 활성화와 연금 수령 제도 정착을 통해 퇴직연금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합니다.
이번 개편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노후 소득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반응형